미션
1. 난민 신청자, 인도적 체류자, 난민 인정자, 이주민이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한다.
2. 한국의 사회적 약자가 역차별을 받지 않도록 상생하는 일을 도모한다.
3. 모든 회원과 후원자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협력 운영 체계를 세운다.
비전
1. 노량진 '꿈꾸는학교 아동청소년센터' 설립.
2. '나누다' 프로젝트 1기 (nanuda.org) - 사회적약자를 위한 교육나눔플랫폼 베타
자립 준비 청년이 꿈꾸는학교 아동청소년센터의 교육과 돌봄 사업에 참여해 이익을 창출하고 자립할 수 있는 훈련을 받게 한다. 정부의 한국어, 한국 문화 교육 사업인 사회통합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해서 재원을 마련한다.
3. '나누다' 프로젝트 2기 (nanuda.org) - 사회적약자를 위한 교육나눔플랫폼 확대
사회적 약자와 giver를 앱으로 쉽게 연결하고 사회적 약자가 역으로 giver로서 활동에 참여해 taker로서 이익까지 얻는 '기버 앤 테이커' 생태계를 구축한다.
비영리 창업가정신
창업가(대표, 리더그룹)는 비영리 창업가정신의 기본적 요소를 갖추고 있으나, 구체적 성과 목표와 달성 전략을 분석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등 일부 항목에서 어려움을 느낌.
솔루션 모형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와 솔루션이 명확하며 목표집단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가 있으며, 콘텐츠와 프로세스의 혁신성과 파급력, 이해관계자 인센티브 양립성, 재정모형과 리스크 등 다면적인 차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단계임.
자원/역량
양질의 인적/물적/기술적/네트워크 자원이 필요함.
거버넌스
이사회의 실질적 활용도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 또는 회계 관리 및 사회 책임과 관련하여 보다 철저한 명문화 및 관리가 필요함.
실행/운영
조직의 단계나 특성, 규모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으나, 솔루션 모형의 효과적인 실행과 유지를 위해 보다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임팩트
초기 단계의 특성으로 인해 목표값의 달성률이 낮거나 성과가 다소 피상적일 수 있어, 아웃컴에 대한 목표값 및 측정을 위한 기준(지표)을 정비할 필요가 있음.
2023년~2025년: 주중, 주말 한국어 교실 운영.
2024년 9월: 가칭 '꿈꾸는 난민학교, 난민농장' 준비 위원회 발족.
2025년 1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홍보 활동 시작.
2025년 3월 12일:'꿈꾸는 난민재단' 비영리 임의단체 설립.
2025년 4월: 온라인 회원 가입 및 CMS 후원 시스템 시작.
2025년 4월: 이주 노동자 공동체로 한국어 무료 교육 확대. 종로구 혜화동 필리핀 커뮤니티.
- 빈곤의 종식
- 양질의 교육
-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 불평등 완화
법인격
임의단체
설립연도
2024년
홈페이지
주소
경기 고양시 덕양구 충장로123번길 26 (행신동, 샘터마을3단지아파트) 304동 40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