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리 창업가정신
영리 분야에서 창업 후 명확한 소셜미션 아래 비영리로 전환한 케이스로, 풍부한 경험과 역량을 가진 창업가(대표자)가 조직에 헌신하며 높은 수준의 비영리 창업가정신을 보여줌.
솔루션 모형
기업의 생산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휴면자원'을 아동의 놀잇감으로 전환하며 환경과 교육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사회적 가치를 확산함. 목표집단의 잠재적 만족요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단계까지 나아갔으며, 주요 이해관계자의 인센티브 양립성 또한 높은 편임. 혁신적 콘텐츠와 안정적인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새로운 구조의 수익모형을 갖추는 중으로, 임팩트 창출/확장 가능성이 높음.
자원/역량
외부 연구진과의 협업을 통해 기술자원을 확보하고 국내외 양질의 파트너를 꾸준히 확장하는 등 기술 및 네트워크 자원이 매우 우수함. 내부 구성원의 사업 역량과 몰입도 또한 높은 편으로,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안정적 공간 자원이 확보된다면 더욱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됨.
거버넌스
전문성 있는 이사진의 자발적 참여도와 조직 기여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나, 더욱 적극적으로 기여하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음. 조직 운영 기준의 체계화/문서화 등이 진행되고 있어 향후 실효성 있는 조직 운영 시스템 구축을 통한 거버넌스 강화가 기대됨.
실행/운영
작은 조직임에도 체계적 실행 프로세스와 성과 관리를 통해 프로트젝트를 안정적으로 운영함. 이해관계자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비교적 세분화된 관리 활동을 하고 있음. 수익모형 구조가 안착하여 안정적 재원이 마련된다면 조직의 솔루션 실행력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됨.
임팩트
임팩트 창출에 대한 대표자의 이해도가 높고, 이에 따라 구체적인 목표값과 측정 지표 체계 하에 성과를 관리함. 업력에 비해 안정적으로 성과를 도출하며, 사업 단위의 목표는 안정적으로 초과달성하는 경향을 보임. 솔루션의 대상 및 범주 확대와 시민 참여, 후원 확대 등의 전략을 통한 임팩트 확장성이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