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리 창업가정신
창업가(대표)는 열정과 몰입, 위험감수성 등 비영리 창업가정신의 자질을 갖추었으며, 구체적인 성과 목표를 중시하는 성취 지향성을 바탕으로 문제 분석력과 대안 제시, 자원 동원 역량, 성취 지향 등에 강점을 보임. 관계 지향적 측면이 보완된다면 더욱 높은 창업가정신을 보일 것으로 기대됨.
솔루션 모형
소멸되어 가는 지역 공동체를 회복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솔루션은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지역 청소년, 청년, 예술가(작가)가 친밀한 교류를 통해 순환구조를 이룬다는 차별성을 지님. 목표집단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콘텐츠와 프로세스를 꾸준히 보완함. 재무적 지속가능성을 확보한다면 임팩트 창출/확장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됨.
자원/역량
역량있는 구성원이 높은 몰입도를 가지고 조직 활동에 헌신함. 기술/물적/네트워크 등 양질의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솔루션의 핵심 자원인 예술가 네트워크를 특히 강점으로 꼽을 수 있음. 주민과 함께 지역내 다양한 공간을 활용해 전시를 운영하는 등, 공동체성에 기반한 지역 자원의 활용 및 관리 역량도 뛰어남.
거버넌스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도, 회계투명성 등 사무국 운영 차원의 거버넌스를 잘 갖추고 있음. 조직 운영 및 문화를 체계화하기 위한 내규 확립 및 문서화, 이사회 다양성과 전문성 확충 및 기여 시스템 마련 등의 거버넌스 요소가 강화된다면 조직의 성장과 지속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실행/운영
구성원의 실무 역량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운영 및 관리의 안정성이 높은 편임. 이해관계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으며 관리 활동도 하고 있으나, 이해관계자 집단에 따른 실행계획과 중장기 관리 전략이 보완될 필요가 있음. 안정적 재원 마련과 연대 확장을 위한 전략 및 관리 여력이 확보된다면 실행/운영 역량이 더욱 균형있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임팩트
업력에 비해 안정적으로 성과를 도출하는 편이나, 베이스라인을 고려한 임팩트 목표값 설정이 필요함. 사업 단위의 성과 달성도는 높은 편으로, 향후 솔루션의 대상/범주 확대 및 시민 참여, 후원 확대 등의 확장 전략을 통한 임팩트 확장성이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