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
팝업 전략을 활용해 지역 활성화가 필요한 곳에 다양한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각자 동네가 영감이 될 수 있는 사람 중심의 열린 도시 만들기
비전
동네 곳곳에 지역민이 모이고, 연결되는 다채로운 공공 공간이 넘쳐 나는 일상.
특히 문화 사각지대의 어린이, 어르신 등 사회적 약자를 포용하는 모두에게 열린도시
비영리 창업가정신
창업가(대표)는 도시설계, 도시계획 등 관련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강점으로 지니고 있으며, 명확한 소셜미션을 가지고 조직에 헌신하며 높은 수준의 비영리 창업가정신을 보여줌.
솔루션 모형
공유 공간이란 개념을 통해 생활권 중심의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지속하는 콘텐츠의 혁신성, 이론과 가설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프로세스의 체계도, 다양한 주체와의 소통 및 협업을 통한 이해관계자 인센티브 양립성 등 시스템적으로 균형 잡힌 솔루션 모형을 갖춤. 솔루션 확장을 통한 수입원의 안정성 확보, 리스크 관리 등 다면적 차원의 고민이 필요한 단계임.
자원/역량
도시설계와 건축에 대한 전문성, 사업 수행 역랑 등을 갖춘 구성원과 외부 연구진 등 분야별 전문가 그룹을 활용해 높은 수준의 문제해결기술 자원을 갖추고 있음. 안정적 공간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역량도 뛰어난 편임.
거버넌스
임팩트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거버넌스 기반을 다지고 있으나, 초기 조직 형태(임의단체)상 거버넌스 요소에 한계가 있는 상태임. 법인 설립과 함께 조직 운영 기준의 체계화/문서화, 다양하고 전문적인 이사진 구성 및 이사회 시스템 마련 등이 진행된다면 실질적으로 조직 성장에 보탬이 되는 거버넌스 기반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실행/운영
프로젝트 수행과 관리는 매우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해관계자에 대한 이해 및 관리 역시 진행하고 있음. 법인 설립과 함께 재무평가 및 관리와 안정적 재원 확보 전략 수립 등 재무 영역의 체계가 갖춰진다면 크게 도약할 것으로 보임. 현재 도시 관련 다양한 주체 간 협의체를 구성하고 있어, 향후 연대사업의 확장 또한 기대됨.
임팩트
프로젝트 단위의 성과는 안정적으로 달성하고 있으며, 성과 측정과 임팩트에 대한 이해도 또한 높은 편에 속함. '사람'과 '공간' 각 영역에서의 근본적 임팩트를 확보하고 파급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론에 대해 고민하고 있으며, 지속적 시민 참여 기반으로서의 회원 제도를 갖추고 있어, 향후 임팩트 확장성이 기대됨.
-2023년 서울문화재단 연구 지원사업 선정 '이동식 커뮤니티 플랫폼' 개발
-2023년 성동구 문화도시 사업
-2024년 초록우산x다음세대재단 아동청소년 비영리스타트업 인큐베이팅사업 선정
-2024년 아산비영리스타트업 도전 트랙 선정
-2024년 Placemaking Conference 우수사례 선정 및 발표
- 불평등 완화
- 지속가능한 도시 및 거주지 조성